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풀이
def solution(N, stages):
loss_arr = []
answer = []
max_num = 0
for i in range(1,N+1):
if len(stages):
loss_arr.append(stages.count(i) / len(stages)) # 실패율 모으기
for j in range(stages.count(i)): # 숫자 제거
stages.remove(i)
else:
loss_arr.append(0) # 숫자가 리스트에 없으면 0 반환
for k in range(len(loss_arr)):
answer.append(loss_arr.index(max(loss_arr)) + 1) # 실패율 가장 큰 값 찾기
loss_arr[loss_arr.index(max(loss_arr))] = -1 # 계산 끝난 실패율은 리스트에 -1저장
return answer
이제 구현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지만, 시간 관리가 관건인 것 같다. 시간초과로 실패했다.
1 ~ n 의 이름이 정해진 수가 조건에 따라 정렬되려면 dict을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딕셔너리 사용법을 정리 했다.
dict = { 'a': 4, 'b': 3, 'c': 5, 'd': 1, 'e': 2 }
#1.
print(sorted(dict.keys(), key=lambda x: x))
#-딕셔너리의 키값들을 매개변수 x에 넣어 x로 정렬하며
# 키값을 출력한다.
#결과값 : ['a', 'b', 'c', 'd', 'e']
#2.
print(sorted(dict.values(), key=lambda x: x))
#-딕셔너리의 value값들을 매개변수 x에 넣어 x로 정렬하며
# value값을 출력한다다
#결과값 : [1, 2, 3, 4, 5]
#3.
print(sorted(dict, key=lambda x: dict[x]))
#-딕셔너리의 키값들을 매개변수 x에 넣어 dict[x] 즉 dict의 value값으로 로 정렬하며
# 키값을 출력한다.
#결과값 : ['d', 'e', 'b', 'a', 'c'] // 지금 풀이에 필요한 식이다
#4.
print(sorted(dict.items(), key=lambda x: x[0]))
#-딕셔너리의 키,값 쌍들을 매개변수 x에 넣어 키값
# 정렬하며 키값을 출력한다.
#결과값 : [('a', 4), ('b', 3), ('c', 5), ('d', 1), ('e', 2)]
#5
print(sorted(dict, key=lambda x: x))
#-딕셔너리의 키값들을 매개변수 x에 넣어 x로 정렬하며
# 키값을 출력한다. // #1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다
#결과값 : ['a', 'b', 'c', 'd', 'e']
파이썬 딕셔너리와 람다식을 통한 정렬
코딩테스트를 풀다 딕셔너리를 정렬하는 순간 생각이 멈췄다.평소 딕셔너리를 사용하긴했지만 key값와 value값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정렬하는 방법은 잘 몰랐기 때문이다.따라서 나의 노트에
velog.io
sorted ( '--A--' , key = lambda x : '--B--' ) 에서 A는 정렬시킬 값이자 일종의 정의역, B는 일종의 치역으로 보면 되겠다.
딕셔너리로 수정했다.
def solution(N, stages):
loss_arr, answer = {}, {}
length = len(stages)
cnt = 0
for i in range(1,N+1):
if length:
cnt = stages.count(i) # count() 함수를 한 번만 쓰기 위해
loss_arr[i] = cnt / length # for구문으로 remove를 여러 번 쓰는 것보다
length -= cnt # 길이를 줄여버렸다. 핵심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
else:
loss_arr[i] = 0
answer = sorted(loss_arr, key = lambda x : loss_arr[x], reverse = True )
return answer
정답이 나온다.
출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Programing > 프로그래머스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트게임 (0) | 2023.09.17 |
---|---|
기사단원의 무기 - (약수 구하기) (0) | 2023.09.17 |
덧칠하기 - ( 쉽게 생각하자 ) (0) | 2023.09.17 |
소수 만들기 ( combination 모듈 ) (0) | 2023.09.16 |
소수 찾기 (0) | 2023.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