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풀이
def solution(fees, records):
car_in_time = {}
car_whole_time = {}
time_gap = 0
answer = []
min_time, min_fee, per_min, per_min_fee = fees[0],fees[1],fees[2],fees[3] # 요금 정보 분해
for i in records:
times, number, exin = i.split() # 시간, 번호, in/out 받기
time = int(times[:2])*60 + int(times[3:]) # 분 단위 환산
pay = 0
if exin == 'IN':
car_in_time[number] = time # 차량 진입 시간 기록
if number not in car_whole_time:
car_whole_time[number] = 0 # 요금 계산을 위한 dict 생성
if exin == 'OUT':
time_gap = time - car_in_time[number]
car_whole_time[number] += time_gap # out할 때 시간을 계속 더함.
del car_in_time[number] # out 안 한 차 계산을 위해, 나간 차는 삭제
for rest_num, rest_time in car_in_time.items(): # out 안 한 차를 최대시간으로 따로 연산
time_gap = 23*60 + 59 - rest_time
car_whole_time[rest_num] += time_gap
for car_number, whole_time in car_whole_time.items(): # 전체 머문 시간을 기준으로 연산
if whole_time > min_time:
answer += [-((min_time-whole_time)//per_min)*per_min_fee + min_fee] # 나눗셈 올림 트릭
else:
answer += [min_fee]
return answer
기댓값과 결과값은 일치하지만, 순서 배치의 문제가 있다. 입차 순서인지 출차 순서인지 규칙을 못 찾겠어서 일단 할 수 있는 만큼만 구현을 했다. 좀 더 고민해봐야겠다.
def solution(fees, records):
car_in_time = {}
car_whole_time = {}
time_gap = 0
answer = []
min_time, min_fee, per_min, per_min_fee = fees[0],fees[1],fees[2],fees[3]
for i in records:
times, number, exin = i.split() # 시간, 번호, in/out 받기
time = int(times[:2])*60 + int(times[3:]) # 분 단위 환산
pay = 0
if exin == 'IN':
car_in_time[number] = time # dict 추가
if number not in car_whole_time:
car_whole_time[number] = 0
if exin == 'OUT':
time_gap = time - car_in_time[number]
car_whole_time[number] += time_gap
del car_in_time[number]
for rest_num, rest_time in car_in_time.items():
time_gap = 23*60 + 59 - rest_time
car_whole_time[rest_num] += time_gap
for car_number, whole_time in sorted(car_whole_time.items(), key=lambda x:x):
if whole_time > min_time:
answer += [-((min_time-whole_time)//per_min)*per_min_fee + min_fee]
else:
answer += [min_fee]
return answer
알고보니 출차, 입차 순서가 아닌, 차량번호 순으로 정렬이 됐다. 그래서 dict의 key = lambda를 이용해 key, value 값을 모두 받아오는 items() 를 써서 간단히 해결했다.
↓ 헷갈릴 때 한번씩 참고해야할 것 같다.
실패율 - ( dict - lambda 정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yooom.tistory.com
출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Programing > 프로그래머스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정수 삼각형 - ( 모든 경로 합 구해보기 ) (0) | 2023.10.01 |
---|---|
[프로그래머스] 하노이의 탑 - ( 재귀 ) (0) | 2023.10.01 |
[프로그래머스] n진수 게임 (0) | 2023.09.30 |
[프로그래머스] [3차]압축 - ( 문자열 슬라이싱으로 dict.keys 조사 ) (0) | 2023.09.29 |
[프로그래머스] 피로도 - ( 순열 permutations, 재귀 ) (0) | 2023.09.29 |
댓글